액세스프로토콜 코인 (AccessProtocol) [ACS] 전망 및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CS 코인은 컨텐츠 시장의 Paywell을 대체하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입니다.
액세스프로토콜 코인 정보
액세스프로토콜 코인 (AccessProtocol) 은 컨텐츠 시장의 Paywell을 대체하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입니다.
플랫폼은 컨텐츠 제작자들이 생성한 Pool에 액세스프로토콜 토큰을 예치하고 이를 통해 선호하는 크리에이터의 프리미엄 컨텐츠를 구독 가능합니다.
카드로 구독하는 방식과 다르게 구독 기간을 갱신하는 어려움이 없습니다. 원하는 기간 동안만 스테이킹을 유지하면 되며 , 원할때 언제든 스테이킹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토큰은 ACS 프로젝트 팀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 거버넌스 및 유틸리티 토큰으로 사용됩니다. 크리에이터를 구독하거나 리워드 및 수수료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거버넌스 용도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액세스프로토콜 팀은 Publisher , Scribe , Community , Newsletter , NFT 이렇게 총 5개 제품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기능과 특징들
- 액세스 퍼블리셔 : 여러 컨텐츠 기업들은 이 기능을 활용하여 토큰 스테이킹 구독 Model을 사이트에 빠르게 적용 가능합니다.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컨텐츠를 생산하고 크리에이터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 Coingecko , The Block 등 다양한 컨텐츠 제작 기업들이 액세스 퍼블리셔를 사용 중입니다.
- Scribe : 개인이나 사용자들이 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 이를 구독할 수도 있는 시스템입니다. 즉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수 있으며 보상 또한 받을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SNS에서는 CPM (1000회 노출 당 광고료)이 낮아 무분별한 컨텐츠가 생성되고 있습니다. 화려하거나 자극적인 썸네일과 더불어 내용이 별로 없는 광고가 대부분입니다.
구독형 모델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줄어들지만 (넷플릭스와 같은)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액세스는 새로운 구독 모델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한다고 합니다. 컨텐츠의 질이 좋을수록 (크리에이터들은) 많은 보상을 받기 때문에 질 좋은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해야 합니다. 이것은 소비자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시가 총액과 발행량
유통 발행량 30,324,300,025 ACS , 총 발행량 86,622,986,235 ACS , 최대 발행량 정보 없음
시가 총액은 ₩72,903,348,292 로 암호화폐 322위이며 , 완전 희석된 시가 총액은 ₩207,547,519,940 입니다.
토큰은 아래와 같이 분배됩니다.
- 58% : Creator , Audience Incentives
- 15% : Community Treasury
- 10% : Foundation
- 7.5% : Investors
- 7.5% : Team & Advisor
- 2% : Early Airdrops
액세스프로토콜 전망
현재의 유튜브나 넷플릭스같은 중앙화된 기업들은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액세스 프로토콜 플랫폼은 탈중앙화 되었으며 높은 품질의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장려하고 , 보상 또한 적합하게 지급한다고 합니다.
사용자들은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구독을 신청 가능하며 크리에이터들은 양질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대신 그에 적합한 수익을 지급 받게 됩니다.
중개자가 없기 때문에 수익을 그대로 지급 받을 수 있으며 (아주 적은 수수료만 부과됨) 이는 크리에이터 입장에서 큰 장점으로 다가옵니다.
현재의 구독 서비스를 대체하기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많은 투자를 받기도 하였지만 시가 총액은 높은 편은 아닙니다. 또한 아직 안 풀린 물량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현물 장기투자보다는 손절가 잡고 진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CS 현물은 빗썸과 업비트 BTC 마켓 , 바이비트 , BingX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거래소명 클릭시 최대 수수료 할인을 받고 가입이 가능합니다.
관련 링크
글로 쓰기 애매한 짧은 정보나 소식 등은 텔레그램에서 전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