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코인 (Cosmos) [ATOM] 전망 및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TOM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연결을 지원하는 인터체인 암호화폐로 , TBFT 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코스모스 코인 정보
코스모스 (Cosmos) [ATOM] 코인은 인터체인 블록체인으로, 서로 다른 체인 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코인입니다. 유사한 코인으로는 폴카닷 이 있습니다.
코스모스 코인은 텐더민트 사에서 개발하였으며 , 한국계 미국인 재권 (권용재) 이 만들었습니다. 블록체인 인터넷을 표방하며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해 인터넷처럼 통신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비트코인을 사용할수 없는 이유는 서로 상호운용성이 없어서이기 때문인데 , 코스모스는 이를 허브와 존 이라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해결하였습니다.
또한 , 기존 블록체인의 문제점인 POW방식의 에너지 낭비와 불합리한 거버넌스 , 상호 운용을 위해서 제 3자인 거래소를 통해야 하는 등을 해결 가능합니다.
1세대 코인인 비트코인 , 2세대 코인인 이더리움을 필두로 3세대 블록체인들이 대거 탄생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훌륭한 코인이지만 분명히 한계도 존재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확장성 문제와 수수료 , 속도, 거버넌스 등의 문제가 존재합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이 가능하고 Dapp들의 개발을 단순화했지만 , 블록체인 자체의 복잡함이 존재하며 포크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블록체인의 가장 큰 문제는 상호 운용성 문제인데 , 각 암호화폐와 체인은 대부분 호환이 불가능하지만 , 코스모스를 이용하면 블록체인 간의 통신이 가능하며 텐더민트, 코스모스SDK 등의 개발 툴을 활용하여 다양한 디앱을 신속하게 구축 가능합니다.
특징
텐더민트 코어는 수백 시간의 개발 시간을 절약하게 해주는 유용한 개발자 툴입니다. 텐더민트 코어 엔진 위에 퍼블릭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축할수 있으며 고성능의 엔진이기 때문에 매우 빠른 블록 시간 (1초 내외)을 가지며 수천 TPS를 지원합니다.
TBPF (텐더민트 BFT 합의 알고리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 이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 암호서명을 사용해 투표를 하며 투표 권한은 담보로 묶인 토큰의 양 (Stake) 에 의해 결정됩니다. 한 블록에 대한 투표는 라운드별로 진행되며 , 각 라운드에는 리더 또는 제안자가 존재합니다. 검증자들은 제안된 블록을 수락하거나 , 다음 라운드로 넘어가도록 투표가 가능합니다. 검증자가 아닌 노드들은 ATOM을 임의의 검증자에게 위임하여 수수료와 ATOM을 보상으로 받을수 있지만 , 위임을 받은 검증자가 정책을 위반하거나 해킹당할 시 피해를 입을수 있습니다.
텐더민트 코어 뿐만 아니라 코스모스 SDK 도 지원하는데 , 이를 이용하면 안전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것을 간소화 할수 있습니다.
이더민트 –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 을 SDK 모듈로 포팅한 것으로 , 이더리움을 텐더민트 위에 구현한 것입니다. 이더민트는 이더리움과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텐더민트 코어의 모든 특성을 활용 가능합니다. 즉 업그레이드 버전이며 , 이더리움의 모든 도구가 호환됩니다. 즉 기존의 이더리움 코드베이스를 가지고 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며 , 높은 Web3 호환성 , 높은 처리량 등의 다양한 장점이 존재합니다.
IBC 프로토콜 – IBC는 Inter-Blockchain Communication의 약자인데 , 블록체인 간 커뮤니케인션을 말합니다. 텐더민트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토큰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운용이 가능하게 하며 , 퍼블릭-프라이빗 블록체인 간의 토큰 전송도 지원합니다.
코스모스 허브는 내부 토큰인 ATOM 을 가지며 , 보유자는 투표 또는 검증이나 위임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토큰인 Photon 도 발행하였는데 , 이는 두번째 고유 토큰이자 수수료로 사용되는 수수료 토큰입니다.
시가 총액과 발행량
유통 발행량 286,370,297 ATOM , 시가 총액은 ₩4,737,691,283,315 로 암호화폐 21위 입니다.
80%는 투자자들에게 할당되었으며 , 20%는 All In Bits 와 Interchain Foundation 에게 배분되었습니다.
- 68% : 퍼블릭 세일
- 10% : ICF
- 10% : AIB
- 6.8% : 프리세일
- 5% : 초기 투자자
인플레이션 코인이며 , 전체 아톰의 66% 이상이 스테이킹에 참여하면 7%의 인플레이션을 , 66% 이하가 참여하면 인플레이션이 점차 증가하여 20%까지 상승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인플레이션율 등을 확인 가능합니다. 상당히 성능 좋은 탐색기를 가지고 있네요.
코스모스 전망
코스모스는 서로 다른 체인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꼭 필요한 코인입니다. 코스모스는 다양한 툴을 제공하는데 , 바이낸스 체인인 BNB Chain 도 코스모스 SDK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죠.
글로벌 Top 1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자체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데에 SDK를 사용하였다는 것은 코스모스 SDK가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해 볼수 있겠죠.
코스모스는 상당히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테이킹된 비율이 높아질수록 보안이 좋아지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 현재에는 약 68.47%의 스테이킹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비율도 10% 이상으로 매우 높다고 판단되는데 (물론 POS로의 완전한 전환은 되지 않았지만) 68% 정도의 비율은 매우 높은 비율이죠.
묶인 물량이 많다면 가격 상승에 유리하겠죠. (공급이 낮으니) 다만 높은 인플레이션은 (이더리움은 5% 내외이며 디플레이션 전환 가능성이 있지만 ATOM은 그럴 확률이 낮음) 가격 상승에 불리합니다.
Bybit 거래소에서는 최소 연 5.8%의 이자를 받으면서 코스모스 코인을 예치 가능합니다. 만약 현물을 들고 계신 분들이라면 인플레이션에 의한 손해를 보지 마시고 Bybit에 예치하여 이자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거래소명 클릭시 최대 수수료 할인 (20% + 20% 자동 페이백) 과 증정금 혜택을 받고 가입이 가능합니다.
현물 장기투자 하실 분들은 스테이킹이 필수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이자와 인플레이션 둘 다 매우 높고 , 장기투자를 하면서 그냥 기다리면 높은 스테이킹 이자로 쏟아지는 물량때문에 큰 손해를 볼 확률도 존재합니다.
투자에 적합한지
코스모스 코인 자체의 기술력과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 현물 장기투자를 하신다면 스테이킹을 무조건 하시거나 , 그냥 선물거래로 롱숏 차익 노리는 것이 훨씬 좋아 보입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코스모스 IBC 상태들을 볼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메인넷 간의 자산 이동 현황이나 , 이동되는 자산의 가치 등을 확인 가능합니다. 이 IBC Map을 활용한다면 코스모스 생태계 내에서 여러 코인들을 포트폴리오에 담는데 큰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코스모스에 관심 있으시다면 코스모스 생태계 내의 다른 코인들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ATOM 자체의 가치가 중요한 코인이 아니라 생태계 내와 상호 운용해야 하는 코인이기 때문입니다.
시가총액이 높은 편은 맞지만 이더리움 등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지만 크립토 시장은 유형자산이 아니니 투자에 조금 더 신중함이 필요하긴 합니다.
ATOM 현물은 업비트와 Bitget 등에 상장되어 있으며 선물은 Bybit , BingX , Bitget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거래소명 클릭시 최대 수수료 할인을 받고 가입이 가능합니다.
관련 링크
글로 쓰기 애매한 짧은 정보나 소식 등은 텔레그램에서 전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