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곤 코인 (Polygon) [MATIC] 장기투자 전망 그리고 차트 및 호재와 개발현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TIC 코인은 이더리움의 문제점인 확장성 및 보안성 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암호화폐입니다.
Polygon 코인 전망 및 정보
폴리곤 코인 (Polygon) [MATIC]은 이더리움의 문제점인 확장성 및 보안성 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암호화폐입니다.
폴리곤 코인은 Ethereum Plasma Framework를 개선한 솔루션을 2017년에 출시하였으며 트랜잭션 속도를 대폭 높이고 비용은 절감하였습니다.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멀티체인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다양한 문제점인 보안성과 확장성 등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Layer 2 범주에 속하며 , 2020년 Matic 네트워크를 공식적으로 출시하였습니다. 2021년 2월 경 명칭을 폴리곤으로 변경하였습니다.
Polygon의 SideChain은 블럭당 65,536회의 트랜잭션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속도를 엄청나게 올렸습니다. 특히 Defi 프로토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POS (지분 증명) 을 발전시킨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Staking을 통해 생태계를 발전 시킬 수 있습니다. 검증자들은 자신의 토큰을 담보로 합의 매커니즘을 구동시키고 보상으로 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Bybit 거래소에 MATIC 을 예치하면 연 최소 1.65% (자유 예금) 이자를 받으면서 현물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원할 때 언제든지 출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물을 보유하신 분들은 예치하고 이자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거래소명 클릭시 최대 수수료 할인 50% + 자동 페이백 20% 혜택과 증정금 혜택이 지급됩니다.
폴리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Dapp은 4만개 이상이며 , AAVE 그리고 스시스왑 등 대규모 Dapp들이 Polygon 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POS (지분 증명) 에 Plasma 방식을 결합한 특이한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더리움의 강력한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TPS는 몇십 배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시가 총액은 ₩7,044,502,308,293 로 암호화폐 13위이며 , 완전 희석된 시가 총액은 ₩7,575,833,549,789 입니다.
유통 발행량 9,299,803,031 MATIC , 총 발행량 10,000,000,000 MATIC , 최대 발행량 10,000,000,000 MATIC
토큰은 위 사진과 같이 분배됩니다. 인플레이션은 연 2% 수준입니다. (변동될 수 있음)
개발 현황
깃허브에서 개발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이 꾸준하게 진행된다고 무조건 좋은 코인은 아니겠지만 , 그래도 각종 문제점을 개선할수 있으며 개발진이 코인을 버리지 않았다는 증거이니 호재로 작용합니다.
깃허브 주소는 https://github.com/maticnetwork/ 입니다.
깃허브를 살펴보면 ,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최근 업데이트 된 모습을 확인 가능합니다. 오른쪽 그래프를 보더라도 꾸준히 업데이트 중인 것이 확인 가능합니다.
인기가 가장 많은 Contracts 프로젝트의 경우 업데이트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출시된 지 오래된 코인이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는 이미 완료되었다고 생각하고 다른 프로젝트 (최근 업데이트중인) 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or 프로젝트의 경우 대부분의 코드가 최근 4달 안에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695개의 Pull Request 중 4개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해결하였으며 315개의 Issue 중 8개만 남아 있습니다.
커밋 그래프를 보시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시가 총액이 비슷한 메이저 코인들과 비교하였을 때 엄청 활발한 수준은 아니더라도 열심히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개발만 열심히 한다고 좋은 코인은 아니기 때문에 다른 것들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위터와 사람들 반응 살펴보기
우선 트위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https://twitter.com/0xPolygon
팔로워는 142K로 시가 총액 대비 낮은편 으로 보입니다.
트위터 활동은 그렇게 활발하지는 않습니다. 일주일에 한 개 정도의 게시글을 올리고 홍보 활동보다는 공지의 느낌에 가깝습니다.
바이낸스에서 BNB 체인을 제외한 NFT 들을 퇴출시켰고 , 때문에 MATIC 도 타격을 입었습니다.
최근에는 사람들의 관심이 많이 사그라든 것 같고 , 2023년 8월 경 반등 없이 떡락하면서 사람들이 근본 코인이 맞냐는 의구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저 시기는 잡알트들이 강세였던 시기였고 (세력이 붙은) 메이저 코인 대부분이 힘을 못 쓰던 시기였기에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Polygon 차트와 호재 분석
일봉 상으로는 정석대로 움직이는 느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메이저 코인임에도 가격이 튀는 느낌이며 변동폭도 큽니다.
현재에는 우하향 중인 모습을 확인 가능하며 특별한 호재 or Layer 2 강세장이 오지 않는 이상 우하향 추세를 깨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일봉상 현재 반등이 나와준 지점은 이전에도 반등이 몇 차례 나왔던 구간이며 , 현재의 하락 추세를 깨지 못한다면 전저점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로 떨어질 확률보다는 해당 지점에서 몇 차례 반등이 나오면서 횡보하다가 리테스트 실패시 전저점 부근까지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업비트보다 상장된지 오래 된 바이낸스의 차트를 살펴보면 , 만약 저점이 깨질 시 (업비트 일봉 2에서 선을 그어둔) 유의미한 매물대가 없기 때문에 상장 초기 가격까지 조정이 올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 전에 미니 불장이라도 찾아와서 어느정도 회복 할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Layer 2 코인중 근본 있는 대장 코인임과 동시에 메이저 코인 펌핑 장에서 반응이 올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MATIC 같은 근본 코인보다는 SUI 나 ARB 같은 코인이 강세일 확률이 높습니다. 세력 입장에서도 시체가 없는 코인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물량이 풀린 상태이고 시총도 높기 때문에 현물 장기투자를 해도 좋아 보이지만 , 단기간에 수익을 본다는 마인드보다는 분할 매수 + 스테이킹으로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Bybit에 스테이킹 할 시 연 2% 이상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메이저 알트 치고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선물 거래도 좋은 방법입니다.
MATIC 현물은 업비트와 Bybit 등에 상장되어 있으며 선물은 BingX , Bybit , Bitget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거래소명 클릭시 최대 수수료 할인을 받고 가입이 가능합니다.
글로 쓰기 애매한 짧은 정보나 소식 등은 텔레그램에서 전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