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왑 코인 전망 및 정보 [UNI]

유니스왑 (Uniswap) [UNI] 코인 전망 및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NI는 이더리움과 ERC-20 토큰 간의 자동 교환 거래를 용이하게 하도록 만들어진 DEX (탈중앙화 거래소) 토큰입니다.

코인 페이백 배너

유니스왑 코인 정보

유니스왑 (Uniswap) [UNI] 코인은 탈중앙화 거래소 (DEX) 에서 사용되는 토큰으로 , 이더리움과 ERC-20 토큰 간의 거래를 지원합니다.

이더리움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 온체인 (블록체인 내)에서 탈중앙화 지갑 (메타마스크 , 코인베이스지갑, 포티스 , 월렛커넥트 등)을 연동하기만 하면 누구나 유니스왑 프로토콜을 사용 가능합니다.

유니스왑은 디파이 프로젝트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거래 과정을 완전히 탈중앙화 시킨 프로젝트입니다. 거래는 정확히 하나의 ERC-20 토큰을 지원하며 각 거래 계약에는 ERC-20 토큰이 존재합니다.

탈중앙화 거래소란?

유니스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탈중앙화 거래소 [DEX] (Decentralized Exchang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탈중앙화 거래소는 중앙화 거래소 (업비트, 바이낸스, 비트겟 등)과는 다릅니다. 수수료로 수익을 내기 위해 만들어진 중앙화 거래소들과는 달리 탈중앙화 거래소는 비영리 목적으로 만들어졌고 , 중앙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상장 (거래지원)이라는 개념도 없습니다.

DEX의 원조는 유니스왑이 아니지만 , UNI는 유동성 풀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기존 DEX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습니다. 유니스왑은 유동성을 공급하는 자들에게 UNI를 보상으로 지급함으로서 유동성 풀의 규모를 키우고 , 이를 통해 가스비를 줄이고 확장성을 높였으며 유동성 또한 높였습니다.

거래 지원

예를 들면 , ETH와 MANA(ERC-20) 간의 거래를 원하는 사람이 있다면 ETH-MANA 유동성 풀이 필요합니다. ETH와 MANA를 둘다 가지고 있는 사람이 유동성을 제공 (예치)하여 이 둘간의 거래를 중개해 주는 것이죠. 거래 중개를 통해 UNI와 거래 수수료를 받게 됩니다.

유니스왑은 ETH <–> ERC-20토큰 거래도 지원하는데 , 두 토큰간의 환율은 유동성 풀의 상대적 규모를 기반으로 합니다. 거래 금액의 0.3%는 유동성 공급자에게 수수료로 지불됩니다.

마찬가지로 ERC-20토큰 <–> ERC-20 토큰 간의 거래도 지원합니다. 다만 이 방식의 경우 ETH를 중개 자산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0.3% + 0.3%가 지불됩니다. (ERC-20토큰 0.3%와 ETH 0.3%)

유니스왑의 환율 그래프는 지수함수 형태를 띄고 있으며 , k는 변하지 않는 상수 , x와 y는 거래쌍에서 사용 가능한 ETH와 ERC-20 토큰의 수 라고 하였을 때 x*y=k 를 만족합니다.

특징

유니스왑은 기존의 DEX와 차이점이 많습니다. 오더북 (기존 거래소의 호가창) 이 없으며 AMM으로 거래를 완결시킵니다. 토큰 간의 스왑이 이루어지더라도 수수료를 챙기지 않습니다. AMM은 스마트 계약을 뜻하고 유동성 공급자들 (LP) 이 자금을 공급합니다.

누구나 예치를 통해 LP가 될수 있으며 , 거래가 성사되면 거래자는 0.3%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 그 수수료는 LP에게 분배됩니다. 예를 들어 , ETH와 MANA 간의 유동성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ETH와 MANA를 같은 가치만큼 유지해야 합니다. 즉 , 100$ 가치의 ETH와 100$ 가치의 MANA를 한 쌍으로 하여 유동성을 공급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스테이블 코인을 한 쌍으로 묶지만 , 토큰 간의 유동성을 제공할수도 있습니다. 유동성을 제공하면 유동성 토큰을 받게 되며 , 예치한 코인은 자동으로 묶이게 됩니다. 유동성 토큰을 상환함으로서 예치한 코인을 돌려받을수 있습니다.

유동성을 공급하였는데 코인의 가치가 유동성과 다르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들은 차익 거래를 하게 됩니다. 차익 거래를 통해 차익이 메꿔지게 되며 , 이를 통해 중앙화 거래소인 CEX 들과도 가격이 맞춰질수 있습니다.

유니스왑은 탈중앙화 되어 있으며 ,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며 , 가스비가 저렴하고 모든 ERC-20 토큰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가 총액과 발행량

유통 발행량은 577,486,703 UNI, 총 발행량과 최대 발행량은 1,000,000,000 UNI 입니다.

시가 총액은 ₩4,447,699,790,857 로 암호화폐 20위이며 , 완전 희석된 시가 총액은 ₩7,694,136,165,727 입니다.

토큰 분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 60% : 커뮤니티
  • 21.3% : 팀
  • 18% : 투자자
  • 0.7% : 고문

유니스왑은 4년 이후 연 인플레이션이 2% 정도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디플레이션 코인만큼은 아니지만 인플레이션이 높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가격 상승에 그리 부정적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유니스왑 전망

유니스왑은 DEX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스왑에서는 ERC-20 기반 토큰들 뿐만 아니라 ERC-20 기반 NFT들도 사고팔수 있습니다.

수수료가 0.3%로 CEX 들에 비하면 비싸지만 , 뱅크런 등의 위험에서는 안전하죠. 다만 수수료와 별개로 나가는 스마트 컨트랙트 비용인 가스비가 무시할 수준이 안됩니다.

현재 이더리움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가스비와 느린 트랜잭션 속도때문에 유니스왑을 사용하는 데도 비싼 가스비를 납부해야 하지만 , 이더리움이 이더리움 2.0 업데이트를 통해 가스비와 속도 문제를 잡는다면 해결될 문제로 보입니다.

이더리움 기반 DEX이기 때문에 , 이더리움이 성장하면 유니스왑에게 긍적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DEX중 가장 크고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DEX 메타가 온다면 떡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DEX의 장점이 많다고 하더라도 단점도 분명히 존재하고 , CEX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지고 수수료가 비싸기 때문에 큰 메리트가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유동성 풀의 문제인 “비영구적 손실” 문제도 존재합니다. 일종의 기회비용 같은 것인데 , 커브(Curve)나 밸런서(Balancer) 등은 각자의 방식으로 어느정도 해결을 하였습니다.

단점이 명확하지만 , 그만큼 탈중앙화 거래소인 유니스왑만 가질수 있는 장점도 존재하기에 , 단점을 개선한다면 앞으로 가격 상승을 기대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가 총액이 높은 편이지만 아직 안 풀린 물량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현물 장기투자보다는 손절가 잡고 진입 or 선물거래를 추천드립니다.

UNI 현물은 업비트 BTC 마켓과 Bitget , Bybit 등에 상장되어 있으며 선물은 BingX , Bybit , Bitget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거래소명 클릭시 최대 수수료 할인을 받고 가입이 가능합니다.

관련 링크

글로 쓰기 애매한 짧은 정보나 소식 등은 텔레그램에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래소 할인 및 페이백 배너